HEV 최대 경쟁국인 일본이 한국보다 먼저 자동차 관세
페이지 정보
작성자 드르가미 댓글댓글 0건 조회조회 1회 작성일작성일 25-09-16 20:08본문
대구이혼변호사 한국도 지난 7월 무역 합의를 통해 기존 25%에서 15%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으나 미국 내 행정절차 등을 이유로 아직 실제 적용되진 않고 있다.
도요타, 혼다 등 일본 완성차업체가 그 틈을 타 미국 HEV 시장점유율 확대에 나설 경우 현대차·기아는 대응 수단이 마땅치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지점이다.
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난 1∼8월 미국 HEV 시장에서 도요타(51.1%)와 혼다(17.0%)가 점유율 1, 2위를 차지했고 현대차·기아는 3위(12.3%)를 기록했다. 이 통계에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(PHEV), 마일드하이브리드(MHEV) 등이 포함됐다.
만약 한국이 자동차 관세율을 낮추는 데 실패하고 현대차·기아가 관세 25% 부담을 판매 가격에 그대로 전가한다면, 한일 자동차의 가격 역전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.
미국에서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는 3만290달러, 도요타 라브4 하이브리드는 3만2천850달러인데 각각 관세율 25%, 15%만큼 가격이 인상되면 스포티지(3만7천863달러)가 라브4(3만7천778달러)보다 비싸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.
키움증권은 리포트에서 "현대차는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북미 HEV 판매전략 강화안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"며 "일본계 HEV와 비교해 내구성, 부품 유통망 등 다각도 경쟁우위 요인을 현지 투자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"고 말했다.
.
- 이전글수원강제추행변호사 [단독]55일만에 잡힌 이기훈, 내일 구속 후 첫 소환 조사 25.09.16
- 다음글이어 "이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"며 "자기가 권력 25.09.16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